이노센스 (2004년 일본 영화)

이노센스
イノセンス
감독오시이 마모루
각본오시이 마모루
제작이시카와 미츠히사
스즈키 도시오
음악카와이 켄지
배급사일본 도호
개봉일일본 2004년 3월 6일
대한민국 2004년 10월 8일
시간100분
국가일본
언어일본
제작비$20,000,000
흥행수익$9,789,651

이노센스》는 오시이 마모루 감독이 1995년 제작한 <공각기동대> 이후 내놓은 속편이다. 지난 1편에서 정보의 바다 속으로 사라진 쿠사나기 모토코, 혹은 소령의 뒤를 이어 바토와 토구사, 이시카와 등은 계속 공각기동대 활동을 한다. 바토와 토구사는 어느 날 섹서로이드가 사람을 살해한 사건을 조사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기체 결함이 아님을 깨닫고, 그 섹서로이드를 제조한 회사의 본사를 방문하게 된다. 토구사가 건물 바깥에서 전뇌전을 통해 방호벽을 뚫으려고 시도할 즈음, 바토는 건물 내로 잡입하지만 사람을 향해 달려드는 섹서로이드 무리에 맞서 싸운다. 수로 밀어붙이는 섹서로이드를 상대로 점점 총알은 떨어져 가는데...

공각기동대 2편 <이노센스>는 전작의 심오하고 체계적인 세계관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때는 2030년, 세계 3,4차 대전이 일본을 휩쓸고 지나갔고, 어느 정도 회복이 된 상황에서 '전뇌'라는 획기적 기술이 발명되게 된다. '전뇌'는 인간의 뇌 속에 있는 신경, 기억을 데이터화시켜 기계화된 전뇌 속에 집어넣고 이어 '영혼'이라고 할 수 있는 '고스트'를 옮겨 인간을 네트워크화시키는 기술이다. 이 전뇌화와 함께 발명된 의체화, 즉 사이보그화는 인간을 네트워크와 기계문명의 일부분으로 규합시킨다. 오시이 마모루 감독은 이 사회의 모습 속에서 '고스트'라는 매개를 통해 인간과 로봇이 다른 것은 무엇인지, 인간의 본질은 무엇이며 생명체의 기준이란 무엇인지를 놀라울정도로 자세히 묘사한다. 공자, 밀턴 등 다양한 철학자의 말을 인용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의 깊이를 더하는 동시에 1990년대의 <공각기동대>와는 차원이 다른 극도의 실제적인 그래픽을 구사해낸다. 이를 통해 <이노센스>는 애니메이션으로는 최초로 칸 영화제에 초청받기도 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작품성과는 별개의 문제로, 상업적 흥행에는 그다지 성공을 거두지 못한다. 제작비가 1500만 달러 이상 투입되었으나, 전 세계적으로 1200만 달러 정도를 벌어들이는데 그쳤다. 그러나 일본 영화계에 오시이 마모루의 입지를 다시 한번 다지는데는 성공하며, 감독은 본인의 스타일을 더욱 더 발전시키고 있다.

출연

주연

조연

기타

  • 라인프로듀서: 미츠모토 류지
  • 사운드디자인: 랜디 돔
  • 미술: 타네다 요헤이
  • 마케팅: 조은성

외부 링크

  • v
  • t
  • e
Production I.G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극장 애니메이션
OVA
웹 애니메이션
  • The King of Fighters: Another Day
  • NEXT A-Class
  • 공각기동대: SAC 2045
게임
1: 제2기까지 제작 담당
  • v
  • t
  • e
일본SF대상
1980년대
  • 제1회 「태양풍교점」(호리 아키라)
  • 제2회 「키리키리인」(이노우에 히사시)
  • 제3회 최후의 적(야마다 마사키)
  • 제4회 「동몽」(오토모 가쓰히로
  • 제5회 「환시사냥」(카와마타 치아키)
  • 제6회 「수도소실」(고마쓰 사쿄
  • 제7회 「웃는 우주의 여예인」(칸베 무사시)
  • 제8회 「제도물어」(아라마타 히로시)
  • 제9회 「쾌남아 오시카와 슌로」(요코타 슌야・아이즈 신고)/「미사키 이치로의 저항」(한무라 료)
  • 제10회 「상현달을 삼키는 사자」(유메마쿠라 바쿠)
1990년대
  • 제11회 「애드 버드」(시이나 마코토)
  • 제12회 「샐러맨더 섬멸」(카지오 신지)
  • 제13회 「아침의 가스파르」(쓰쓰이 야스타카
  • 제14회 「비너스 시티」(마사키 고로)
  • 제15회 「여성상무의식」(고타니 마리)/「전쟁을 연기한 신들」(오오하라 마리코)
  • 제16회 「언호」(칸바야시 쵸헤이)
  • 제17회 「가메라 2」(카네코 슈스케
  • 제18회 「가모우 저택 사건」(미야베 미유키)/「신세기 에반게리온」(안노 히데아키
  • 제19회 「브레인 밸리」(세나 히데아키)
  • 제20회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아라이 모토코)
2000년대
  • 제21회 「일본SF 논쟁사」(타츠미 타카유키 편)
  • 제22회 「카메쿤」(키타노 유사쿠)
  • 제23회 「아라비아의 밤의 종족」(후루카와 히데오)/「괴뢰후」(마키노 오사무)
  • 제24회 「마르두크 스크램블」(우부카타 토우
  • 제25회 「이노센스」(오시이 마모루
  • 제26회 「형상화된 힘」(토비 히로타카)
  • 제27회 「바르바라 이계」(하기오 모토
  • 제28회 「호시 신이치: 1001화를 만든 사람」(사이쇼 하즈키)
  • 제29회 「신세계에서」(기시 유스케)/「전뇌코일」(이소 미츠오
  • 제30회 「하모니」(이토 게이카쿠
2010년대
  • 제31회 「일본SF 정신사」(나가야마 야스오)/「펭귄 하이웨이」(모리미 토미히코)
  • 제32회 「화룡의 궁」(우에다 사유리)
  • 제33회 「기룡경찰 자폭조항」(츠키무라 료에)/「반상의 밤」(미야우치 유스케)
  • 제34회 「개근의 무리」(토리시마 덴포)
  • 제35회 「오비탈 클라우드」(후지이 타이요)/「My Humanity」(하세 사토시)
  • 제36회 「콜롬비아 제로: 신 항공우주군사」(타니 코슈)/「돌변」(모리오카 히로유키
  • 제37회 「움즈」(시라이 유미코)
  • 제38회 「게임의 왕국」(오가와 사토시)/「자생의 꿈」(토비 히로타카)
  • 제39회 「나는 공작새」(야마오 유코)/「문자의 소용돌이」(엔조 도)
  • 제40회 「천명의 표」(오가와 잇스이)/「셋방살이의 별」(토리시마 덴포)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VIAF
국가
  • 독일
  • 미국
기타
  • 뮤직브레인즈 릴리스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