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711호선

전북특별자치도 지방도
711
지방도 제711호선
부량 ~ 용안선
지방도 제711호선
총연장 53.212km
기점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부량면
주요
경유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종점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용안면
주요
교차도로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0호선
지방도 제702호선
지방도 제712호선
지방도 제718호선
지방도 제722호선
지방도 제723호선
지방도 제724호선
지방도 제744호선

지방도 제711호선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부량면 옥정삼거리에서 군산시를 거쳐 익산시 용안면 덕용 교차로를 잇는 전북특별자치도지방도이다.

연혁

  • 2007년 12월 28일 : 군산시 임피면 축산리 ~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 18.66km 구간 개통[1]

주요 경유지

  • 김제시
    • 부량면 옥정삼거리 - 옥정리 - 마포교 - 연포리 - 유호삼거리 - 죽산교
    • 죽산면 죽산교 - 죽산삼거리 - 김제서고등학교 - 죽산면사무소 - 죽산리 - 종신리 - 수교삼거리 - 수교
    • 성덕면 수교 - 대석리 - 남포삼거리 - 원미교 - 성덕사거리 - 석동리 - 가실삼거리 - 만경삼거리
    • 만경읍 만경도서관 - 만경보건지소 - 만경터미널 - 만경사거리 - 만경여자중학교, 만경여자고등학교 - 공단삼거리 - 웅포교 - 송상리 - 소토리
    • 청하면 장산리 - 신금 교차로 - 청하삼거리(청하면사무소) - 동지산리 - 만경대교
  • 군산시
    • 대야면 만경대교 - 복교리 - 복교삼거리 - 남우삼거리 - 남우교 - 검문소삼거리 - 대야검문소 교차로 - 대야초등학교 - 석화삼거리 - 산월리 - 보덕리 - 보덕교
    • 임피면 보덕교 - 구절리 - 금굴제 - 미원리 - 임피면사무소 - 임피사거리 - 남상삼거리 - 축산리 - 계남 교차로 - 임피 교차로 - 축동리 - 마룡 교차로 - 관원 교차로 - 관원리
  • 익산시
    • 함라면 신목 교차로 - 입남 교차로 - 성림 교차로 - 행동 교차로 - 함라 교차로 - 금성 교차로 - 와초리 - 성당중학교 - 성당 교차로 - 갈산리
    • 용안면 수산교 - 연동1교 - 덕용 교차로

중복 구간

도로명

각주

  1. 전라북도 공고 제2007-1117호, 2007년 12월 28일.
  • v
  • t
  • e
국가지원지방도
자세한 내용은 틀: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 참조.
경기도(300)강원특별자치도(400)충청북도(500)충청남도(600)전북특별자치도(700)전라남도(800)경상북도(900)경상남도(1000)제주특별자치도(1100)

2020년 국토교통부 저 《도로현황조서》 기준.

  • v
  • t
  • e
김제시의 교통
철도
노선
고속도로
노선
나들목
일반도로
국도
지방도
주요 간선도로
간선도로
교량
  • 공덕대교
  • 만경대교
  • 청하대교
  • 만경강교
  • 군포교
버스
시내
고속·시외
항공
공항
기타
시내
  • v
  • t
  • e
군산시의 교통
철도
노선
고속도로
노선
나들목
일반도로
국도
지방도
주요 간선도로
도시고속
간선도로
교량
버스
시내
고속·시외
항공
공항
항구
여객·물류
기타
시내
  • v
  • t
  • e
익산시의 교통
철도
노선
고속도로
노선
나들목·분기점
일반도로
국도
국지도
지방도
주요 간선도로
간선도로
교량
  • 공덕대교
  • 목천대교
  • 웅포대교
터널[* 1]
버스
시내
고속·시외
기타
시내
  1.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